I. 평가 방법
II. 평가 항목 A. 계획서 발표 - (1-5단계) 이 평가는 계획서 발표를 중심으로 진행됩니다. 1. 산학 연계성
2. 과제 기획 능력
3. 과제 준비 및 의사 전달 능력
B. 계획서 문서 서면평가 이 평가는 제출된 계획서 문서를 중심으로 진행됩니다. 1. 리뷰 - 수정의견 제시 (계획서 평가 시점) - 문서 양식
- 주제 관련
2. 평가- 수정의견 반영 정도를 평가 (1차 중간 보고 시점) C. 중간 자문(1차) 평가항목 1. 산학 연계성
2. 가능성(Feasiblity) - (YES/NO)
제출된 중간 성과물 (프로그램 코드 시연, 조사-Survey 자료 등)으로 보아 평가 시점에서의 적절한 과제의 진척이 있다고 판단하셨습니까?
과제의 목표를 생각할 때에, 평가 시점에서 제출된 중간 성과물이 남은 기간동안 완성이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잘못된 방향으로 이해하고 있거나, 필요한 기술을 모르고 있는 경우에 해당 3. 진행 과정에서의 문제사항 점검 - (YES/NO)
D. 중간 보고(2차) 평가항목 시기상으로 성과물 완성직전 단계에서 수행할 평가이며, 이를 기준으로 다음 평가항목을 평가해주십시오. 1. 산학 연계성
2. 계획서 평가 - (1-5단계) 이 평가는 제출된 문서를 중심으로 진행됩니다. 다음의 항목들에 대한 답변을 해주십시오.
계획서 상에서 개발/연구하고자하는 대상이나 목표가 명확히 설정되어 있고, 그 목표가 어떤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지 알수 있습니까?
개발을 위한 다양한 기술들의 사용이나 절차등의 개발 과정에 대한 논리가 서술되어 있습니까? 이 논리는 현실적으로 볼때 타당하다고 볼 수 있습니까?
제출된 계획서를 보고 판단할 때, 기간내에 완성할 수 있는 정도라고 판단됩니까? 3. 결과물의 완성도 --(YES/NO) 이 평가는 제출된 중간 결과물을 놓고, 개별 면담을 통해서 평가해주시기 바랍니다.
평가 시점에서 볼 때, 제출된 성과물이 남은 기간동안 보완될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최종보고가 얼마 남지 않았기 때문에, 최소한 시제품단계에 이를 수 있는지 판단해주십시오. E. 최종보고 * 성과물, 시연 1. 발표/시연 자료 (1-5단계)
2. 질의응답 (1-5단계)
3. 결과물의 완성도 (척도) (YES/NO) 산학 분반의 경우, 기존 회사의 제품 및 기술이 전시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학생들이 프로젝트 기간 중에 진행한 내용에 대해서만 아래 항목을 평가합니다.
시연된 성과물(프로그램 등)로 보아서, 이 과제의 목표나 해결하고자 하는 점이 잘 드러나고 있습니까?
외형적으로 좋게 보이게 하는 꾸미기, 다양한 기술들의 융합 등의 개발 노력이나 개발/연구 난이도가 높은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있었다고 생각되거나, 이러한 요소들을 발견하셨습니까?
시연자들이 생각하지 못한 오류 및 설명하지 못하는 오류가 제품 시연중에 있었습니까?
포스터/시연자료들을 보아 판단할 때, 시연된 성과물이 제시된 목표들 중에 누락되거나, 미완된 상태로 둔 흔적이 찾았습니까?
제시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핵심 요소들을 시연자들이 시연을 위해 제외시켰다고 생각되는 부분들을 발견하거나, 의심스러운 부분들이 있습니까? |